Android 관련하여 잘못 알려지거나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정보가 워낙 많은데 그 중 하나가 GED(Google Experience Device)가 아닐까 합니다.
Nexus One, Nexus S, Galaxy Nexus 등이 대표적인 GED 단말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GED는 Android 레퍼런스 폰이 아닙니다. 굳이 적합한 용어를 붙이자면 GED는 그냥 구글폰입니다.
Google에서 근무하시는 @mickeyk 님의 블로그에서도 레퍼런스폰이 아닌 구글폰이라고 부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구글폰과 레퍼런스폰의 용어에 대해서 지적하는 이유는 용어로 인해서 Android와 Google이 동일시 되는 경향이 있고 Android와 Google을 동일시 하는 것이 단기적으로나 장기적으로나 Android 플랫폼 입장에서는 입지가 좁아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Android가 Google 서비스에 종속되는 것이 당연시 되는 시장 분위기 형성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Google 서비스에 최적화된 또는 Google 서비스가 탑재된 Android만을 가정하고 개발하는 상황이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고 다양한 분야에서 Android 플랫폼 적용에 상상력이 발휘되지 않는 것이 우려스러운 면도 있기 때문입니다.
Android가 OHA(Open Handset Alliance)라는 연합 형식을 취하고 있기는 하지만 실제적으로 Google이 모든 것을 주도한다는 것은 알만한 사람들은 다 아는 사실입니다. 이 사실로 인해서 소위 전문가라고 하는 사람들도 Android와 Google을 묶어서 혼동하거나 종종 구분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트위터에서 많이 회자된 “안드로이드를 싫어하는 이유“라는 글을 봐도 Android와 Google을 초반에는 구분하는 것 처럼 보이지만 결론적으로 동일시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통사를 “공공의 적”으로 규정하고 이통사와 손잡은 Google을 아주 나쁜놈 취급하면서 결과적으로 Android가 나쁘다고 논리는 전개하고 있는데요. 이와 관련해서는 이번 포스팅 주제와 맞지 않기 때문에 간단히 짚고 넘어가고 기회가 되면 나중에 따로 제 생각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진보를 꿈꾸던 자가 자신이 원하는 진보를 이루면 또다른 보수가 되어 다른 진보를 막고자 하는 의지가 생기는 것같다.“라고 지인께서 제 페이스북에 댓글로 남겨주셨는데 저 블로그 내용대로 애플과 구글이 이통사를 이겼다고 해도 결국은 이통사가 하던 짓을 애플과 구글이 할 것이라는 것이 제 기본적인 생각입니다.
다시 GED 얘기로 돌아오면, Android에는 GED, GMS, Non-Google(정식용어는 아니지만 이 의미가 가장 적합할 듯 합니다)의 3가지의 라이선스가 있습니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Nexus One, Nexus S, Galaxy Nexus 등의 레퍼런스폰이라고 잘못 불리는 폰들은 Google의 서비스를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 Google 주도하에 제조사의 협력으로 만들어지는 GED단말들입니다. Android 라이선스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제 3자에 의한 Android Market” 블로그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GED는 Google이 단말 제조과정에 전반적으로 개입해서 철저하게 Google 입장에서 기기를 만드는 것입니다. 당연히 Google 서비스에 최적화 되고 Google이 맘대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Android의 주요 버전을 출시하는 과정에서 GED 단말과 함께 출시하다보니 레퍼런스폰이라고 많은 분들이 오해하시는 것으로 보입니다.
- GMS는 GED와는 달리 Google의 개입없이 제조사가 독립적으로 기계를 만들지만 Google Android Market(이후 Market)에 접속하는 댓가로 Google의 기본 서비스 application(Gmail, Google maps, YouTube, Market, GTalk, … 등)을 제조 과정에서 pre-install하며 Market에 접속해도 문제가 없는 단말인지 호환성을 확인하는 과정(CTS)을 거치고 CTS 인증을 통과해야만 시장에 출시해서 Market에 접속이 가능합니다.
- Non-Google은 Android의 open source를 사용하지만 Google과 별도 라이센스 계약을 할 필요가 없고 이로 인해 Market에 접속하지 못하며 Gmail, Google maps를 비롯한 Google service application도 탑재하지 못합니다. 호환성 여부는 제공되는 CTS를 통해서 독자적으로 확인이 가능하고 별도 인증 절차도 필요 없기 때문에 네비게이션이나 PMP같은 Network 연결 없이 사용 가능한 embedded device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중국의 OPhone 처럼 독자적인 플랫폼으로도 변형해서 사용 가능합니다.
여기서, GED/GMS 라이선스에 의해서 탑재되는 Google application이나 이통사가 탑재하는 application이나 사용자 시점에서는 서비스 사용을 강요 당하는 입장이기 때문에 마찬가지라고 보이는데 유독 이통사의 pre-install application에 대해서는 시장에서 반감이 많습니다. 이 시점에서 “욱”하는 분들이 일부 있을 듯 한데 제가 이통사 편을 들고자 하는 것이 아니니 참고 넘어가주시기 바랍니다.
동일 연장선 상에서 봤을때 아이폰/아이패드는 Apple Experience Device이고 애플의 application을 탑재해서 애플 서비스를 사용하도록 사용자에게 강요하는 측면에서는 다르지 않아 보입니다.
그런데, 아이폰과 Android폰에는 어떤 차이가 있기에 어떤 기계는 열광하면서 사용하고 어떤 기계는 수많은 안티를 양산해가면서 시장에서 미운오리새끼 취급을 받을까요?
답은 모두 다 아시다시피 동일하게 강요 당하지만 제공 받는 서비스로 인한 사용자 경험이 다르기 때문일 것입니다.
이통사가 수익을 추구하는 기업 입장에서 이윤을 내기 위한 노골적인 서비스 접근이기도 하고 다수의 서비스가 연결성을 갖지 못하기 때문에 어쩔수 없이 사용하는 과정에서 불편함을 느낄 수 밖에 없고 이러한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사용자 입장에서는 강요당하는 느낌이 들 것이고 이런 점들이 이통사의 pre-installed application에게 반감을 가지는 이유가 아닐까 싶습니다. 반대로 이통사가 애플처럼 “돈”이라는 것을 숨기고 월등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면 SKT experience device, KT experience device 제조가 가능한 구조이고 유사하게 제조사도 Samsung experience device, LG experience device도 가능할 것입니다.
이런 점에서 GED는 “구글폰”이고 Android는 “SKT폰”, “KT폰”, “삼성폰”, “LG폰”으로도 얼마든지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GED를 Android의 레퍼런스폰이라고 하는 것은 맞지 않다라는 것입니다.
현재는 이통사가 T-store, olleh마켓을 운영하고 있고 제조사인 삼성의 경우에도 별도 App-Store를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서비스와 App-Store의 경쟁력만 있다면 GED/GMS 라이선스 없이 독자적인 Android폰을 만들 수 있는 환경은 갖춰져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가 아마존의 킨들파이어겠지요…
GED폰을 누군가 레퍼런스폰이라고 부르면서 용어가 일반화되고 역으로 그 프레임에 갖혀서 Android 플랫폼의 무한한 가능성이 사전에 차단되어 수 많은 기회를 잃고 있는 것이 아닌지 돌아보았으면 좋겠습니다.
앞으로, Nexus One / Nexus S / Galaxy Nexus 등의 구글폰은 레퍼런스 단말이라고 부르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Android 레퍼런스 단말은 언젠가 이통사/제조사 중에 똘똘한 한 군데가 정신차리고 제대로 된 Best Practice라고 볼 수 있는 훌륭한 Android 단말을 출시했을때 그 때 부여하는 명예로운 이름으로 사용하면 좋지 않을까요?
※ 원래 제목은 “GED에 대한 왜곡된 시각”이었는데 제목이 너무 어렵다는 지적이 있어서 바꾸었습니다.
좋은 글 고맙습니다.^^
올리신 글대로라면 GED/GMS가 아닌 폰에서 Android reference폰이 나올수도 있겠네요.
하지만 End User입장에서 Gmail, Gtalk, Youtube, Google Map, 음성검색등이 지원되지 않는 폰에 대해 Android폰이라고 받아들일까요?
이 점이 구글이 Android 생태계를 자기에게 유리하게 잘 이끌어 왔고, 플랫폼 사업자로서 가진 장점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아, 물론 아주 훌륭한 제조사나 이통사(혹은 어디이던) Android를 이용해서 구글 서비스 앱들을 대체하는 apps을 만들고 Android폰이라고 내세운다면 가능하겠지만, 저라면 이 노력을 다른곳에 사용할 것 같아요.
결국 Android생태계에는 Google이 플랫폼 개발자로서의 주도권을 계속 유지하는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는 거죠. 좋고 나쁘고의 가치 판단과는 별개로.
개발자 입장에서는 GED가 레퍼런스가 맞습니다.
현재 안드로이드 API를 올바르게 구현해놓았다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는 기기는 GED 뿐입니다.
다만 일반적인 관점에서는 레퍼런스라고 부르지 않는 것이 좋겠네요.
처음 접하는 내용들이라 그런지 머리속에 정돈이 아직 안 되지만, 구글폰이든 안드로이드폰이든 구글레퍼런스폰이든.. 이통사를 통해 구매한다(?)는 점에선 애플폰과 다를바 없이.. 그냥 이통사폰이라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고객의 사고가 아닌가 싶습니다. 다르다면 이전에는 이통사별로 특화된 정말(?) 이통사폰이었는데, 이제는 이통사의 입김이 이전보다 약화되었지만 아직 많이 남아있는 이통사폰 정도라고 할까요.. ㅠ.ㅜ 이통사가 제조사의 판매망으로 전락한 것이 아니라, 제조사가 이통사의 OEM사 라고 보는 시각이 일반적인 고객의 느낌은 아닌지요.. 애플 아이폰의 출시가 KT에 특혜를 준 합리적(? 이통사 입김이 거의 없는..)인 스마트폰이었다면, 이제는 어느 이통사에서나 구매할 수 있지만 해당 이통사의 앱(어플)이 시스템 어플로 버젓이 설치되어 사용을 강요하는 이통사폰이 아닌가요..? 이런 점에서 구글폰은 이통사 레퍼런스폰이고, 아이폰은 이에 저항하는 제조사폰은 아니었는가 싶습니다.
GED가 시장에서 미운오리 취급받는 것은 이통사/제조사 들의 이익추구가 가장 중요한 요인인 것 같습니다.
적시하신대로 구글이 아니라도 얼마든지 자신들의 ‘사용자 경험’을 추구할 수 있는데 굳이 GED를 밀어줄 동기가 없구요….
(구글도 많이 팔기보다는 ‘비전’을 제시하는 것에 주력하는 것 같습니다)
지금처럼 각 제조사들이 사용자 경험을 주도하는 상황이라면, Kindle Fire 처럼 ‘Android’를 넘어선 Identity를 가진 기기들이 더 많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GED는 레퍼런스 폰이 맞습니다.
중소 중견 제조사들은 UI,UX에 대한 독자적인 시나리오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그러므로 GED의 UI, UX시나리오를 많이 참고 합니다. 구글도 이점을 유도하기 위해 자사
폰을 내놓고 있는거구요. LG와 SAMSUNG 프로젝트를 몇번 참여했습니다만 LG, 삼성조차도
구글의 레퍼런스폰이라고 할수 있는 폰들의 시나리오를 많이 참고 합니다.
아주 일반적으로 GMS를 탑재하고 CTS를 거쳐서 GMS인증을 받으려는 단말들은 넥서스나 픽셀등이
레퍼런스가 됩니다. CTS의 결과도 비교해보니깐요.
그래서 저는 레퍼런스폰이라는 명칭이 맞다고 생각됩니다.